카카오톡에 챗GPT가 통합되면서 기존의 챗봇과 어떤 차별점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대화형 AI 비서로서 어떤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좋은 질문이에요. 카카오톡이 챗GPT를 통합하면서 단순 챗봇과는 다른 변화점이 꽤 많을 것 같고, 아래는 제가 지금까지 발표된 자료 기준으로 정리한 차이점 + 새 기능 + 주의점이에요.
기존 챗봇 vs 챗GPT 통합된 카카오톡 — 차이점 요약
방대한 지식 + 실시간 정보 접근 가능 (모델과 서비스 연계)
카카오 서비스 (맵, 선물, 예약 등)와 직접 연결해 실행 가능
별도의 챗봇 앱 또는 플러스친구 / 봇 계정으로 사용
카카오톡 안에서 곧바로 접속 / 대화창 내 통합된 형태
대화 맥락에서 AI가 먼저 제안 / 개입 가능 (“대화형 비서” 기능)
발표된 새 기능 / 카카오톡 + 챗GPT 통합 사항
공식 발표된 내용 +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한 주요 기능들이 아래 있고요
10월부터 카카오톡 내에서 별도 앱 없이 채팅 탭에서 챗GPT 사용 가능해요.
챗GPT가 카카오맵, 선물하기, 예약하기, 멜론 등과 연결되어, 예: “여기 식당 예약해 줘”, “이 노래 틀어 줘” 같은 작업 가능
스마트폰 내부에서 동작하는 AI 모델 도입 → 프라이버시 강화 + 오프라인 일부 기능 가능성 언급됨
대화 중 필요성을 감지하면 AI가 먼저 “이거 해줄까?” 식 제안 가능 (예: 선물 추천, 일정 제안 등)
기존 “# 검색” 대신 AI 검색 기능 탑재 → 대화 중 궁금한 정보 바로 검색 가능
보이스톡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요약 텍스트로 제공하는 기능이 도입된다는 발표 있음
메시지 수정 기능 추가 / 채팅방 폴더 제어 / 안 읽음 폴더 등 UI 개선도 같이 공개됨
온디바이스 AI를 강조하고 있지만, 일부 기능(특히 통신 또는 서버 연계 기능)은 서버 처리 필요성이 있어 어떤 데이터가 서버로 가는지는 세부 정책을 봐야 해요.
챗GPT나 AI 모델을 실시간으로 호출하면 네트워크 상태, 서버 부하 등 때문에 응답 속도가 느릴 수 있어요.
챗GPT 통합에 따른 비용 구조가 어떻게 될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건 아니에요. 일부 고급 기능은 유료가 될 가능성 있음
아직 AI도 오류 가능성이 있으니까, 전문 정보(법률, 의료 등)는 주의해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