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불교 인구가 급속히 하락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든 전 세계든 2015년 전후부터 불교 인구가 급속히 추락합니다. 불교라는
우리나라든 전 세계든 2015년 전후부터 불교 인구가 급속히 추락합니다. 불교라는 종교가 미신과 귀신에 찌든 샤머니즘의 종교이기 때문인가요?가르쳐 주세요.
불교 인구가 2015년 전후를 기점으로 급속히 감소하는 현상은 한국뿐 아니라 일부 다른 국가에서도 관찰되며, 이유는 단순히 하나가 아니라 복합적입니다.
다만 불교는 샤머니즘이라서 망한다는 식의 해석은 너무 단편적이고 오해의 소지가 큽니다.
불교는 샤머니즘인가?
아니요.
초기 불교는 논리적·철학적 기반이 강한 무신론적 종교입니다.
신이나 창조주보다 인간의 마음과 괴로움의 해결에 초점을 둡니다.
다만 불교가 전파된 지역에 따라 현지 신앙(무속 등)과 융합되면서 샤머니즘적 색채를 띤 형태로 바뀐 경우가 많습니다. (예: 한국, 티베트, 일본 등)
불교 인구가 2015년 전후로 급격히 감소한 이유는
탈종교화(세속화) 현상
현대 사회 전반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종교에서 이탈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0~30대의 종교 비중이 10년 전보다 10%p 이상 낮아졌고, 전체적으로 무종교 인구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고령화와 젊은 세대의 이탈
불교 신도는 50대 이상 고령층에 집중되어 있고 젊은 세대의 유입이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
이는 불교 인구의 자연 감소와 미래 확장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불교의 비근대성
전문가들은 불교가 전통종교로서 근대화에 충분히 적응하지 못한 점
즉 신도 조직이나 포교 방식, 사회 참여 등에서 개신교 등 근대적 종교에 비해 뒤처진 점을 지적합니다.
이로 인해 젊은 세대가 불교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이탈하는 현상이 가속화되었습니다.
사회적 신뢰와 종교의 역할 변화
불교는 농어촌 등 전통적 기반에 치중되어 있었으나 도시화와 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종교 전반에 대한 사회적 신뢰가 약화되면서 불교 역시 그 영향을 받았습니다.
개신교 등 타 종교의 적극적 성장
같은 기간 개신교 등은 평신도 중심의 근대적 조직과 적극적인 포교 활동으로 신도 수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증가시켰습니다.
불교가 미신이나 샤머니즘적 요소 때문에 인구가 줄었다는 주장도 있으나 실제 인구 감소의 주된 원인은 탈종교화, 고령화, 근대화 부족, 사회적 신뢰 약화 등 구조적이고 사회적인 변화에 더 가깝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 채택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