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수의사면허취득후 수의사 면허 취득 후 약물 개발하는 연구소 직원 등 공공기관에서도
수의사 면허 취득 후 약물 개발하는 연구소 직원 등 공공기관에서도 일할 수 잇다고 들었는데 정말인가요?
1. 공공기관 진출 가능 분야
(1) 의약품 개발 연구소
임상전 연구(GLP 시험): 동물 실험을 통한 약물 안전성·효능 평가에 수의사 참여 의무화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제34조).
생물의약품 개발: 동물 유래 단백질(예: NGF, 인슐린) 또는 형질전환 동물 모델 활용 연구.
실무 예시:
항체 치료제 개발: 실험동물 면역 반응 모니터링
바이오시밀러 개발: 동물 생리활성 데이터 분석
(2) 정부 산하 기관
국립동물과학원: 신규 백신 개발, 동원성 질환 연구 (예: AI, 구제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동물실험 윤리 심의 위원회 필수 구성원.
질병관리청: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예: 코로나19 동물 모델).
(3) 공공보건 영역
역학조사: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발병 동향 분석 및 방역 정책 수립.
위기대응: 국가생물방어 체계 구축 (예: 화학테러 대응 동물 모델).
⚠️ 2. 자격 요건 및 제한 사항
(1) 필수 조건
수의사 면허: 기초 자격으로, 연구직은 석사 이상 학위 우대.
추가 자격증:
실험동물전문가(KALAS): GLP 시험 수행 필수.
바이오안전성평가사: 유전자 변형 동물 취급 시 필요.
(2) 업무 범위 제한
의료 행위 금지: 연구실에서 동물 진료는 불가능 (「수의사법」 제2조).
인체 적용 불가: 동물 실험 데이터를 인간 대상 임상 시험으로 직접 전환 불가 → 의사-수의사 공동 연구 필수.
3. 실제 채용 사례 및 급여 수준
기관명
직무 내용
자격 요건
평균 연봉
한국동물의료연구원
항생제 내성 메커니즘 분석
수의사 + 미생물학 석사
5,200만 원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백신 효능 시험
수의사 + KALAS 2급
5,800만 원
한국바이오의약품개발원
단클론항체 제제 연구
수의사 + 생명공학 박사 우대
6,500만 원
4. 진출 전략 권장
(1) 경력 쌓기
임상 경험: 동물병원 2~3년 근무 → 실험동물 질환 이해도 향상.
연구 인턴십: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연구소 무료 연수 프로그램 활용.
(2) 전문 교육
필수 과정:
KALAS 자격증: 한국실험동물학회 주관(연 4회 시험).
GLP 규정 교육: MFDS 인증 기관(예: 한국임상실험연구원) 120시간 이수.
추천 학위:
대학원 전공: 약리학, 분자생물학, 공중보건학(MPH).
(3) 입사 지원 팁
공모전 참여: 농림부 「동물바이오 혁신 아이디어 공모」 수상 경력 가산점.
논문 발표: SCI급 국제 저널에 동물 모델 관련 논문 게재.
✅ 결론:
수의사 면허로 공공기관의 약물 개발 연구소 진출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핵심 조건: 수의사 면허 + 실험동물 전문가(KALAS) 자격 + 관련 분야 석사 학위
주의: 인체 적용 연구는 의사 협업 필수이며, 순수 임상 진료는 불가능합니다.
추천 경로: 동물병원 경력 → KALAS 취득 → 대학원 진학 → 공공연구소 지원 image